인사이트
뷰티칼럼
2025.02.11

[화장품 용어 정리 완결판 #1] 진짜 실무자들이 쓰는 업계 용어 #액티브 원료 뜻

화장품 용어 헷갈릴 때, 꺼내먹어요🍫 즐겨찾기 필수! 업계 신입을 위한 용어 모음집

👩🏻‍💻신입사원 필수 정독! 화장품 용어 총정리


화장품 업계에 갓 입사한 신입이라면? 미팅에서 처음 듣는 전문 용어 때문에 당황한 경험이 한두 번이 아닐 거예요. 😵💨

신입이 직접 부딪히며 배운 화장품 용어들!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부터 필수 개념까지 한 번에 정리했어요🤫


즐겨찾기⭐ 해두고, "이게 무슨 뜻이지?" 하고 멈춰설 필요 없이, 필요할 때마다 Ctrl + F 🔍로 빠르게 찾아보세요! 🚀 미팅, 보고서 작성, 제조사와의 소통이 한층 더 쉬워질 거예요👀


브래빗과 함께 화장품 용어 하나씩 차근차근 익혀볼까요? ✨💄



📌 기획 & 개발 관련 화장품 용어


📌 기획 & 개발 관련 화장품 용어

source : lummi.ai


턴키(Turnkey)

→ 화장품 용기, 패키지, 내용물까지 한 번에 제조사에 맡기는 방식

👩🏻‍💻 브랜드가 직접 모든 요소를 준비하는 대신, 제조사에서 A부터 Z까지 해결해 주는 형태에요.

내용물, 용기, 패키지까지 각각의 회사를 모두 컨텍하기 위한 인력이 부족할 때 ‘턴키’ 진행을 추천해요.


사급(Private Supply)

→ 화장품 생산에 필요한 제품을 브랜드 측에서 직접 준비하고, 제조사에 보내 생산하는 방식

👩🏻‍💻 턴키와 정확히 반대되는 용어에요. 원료, 향료, 용기, 뚜껑, 단상자, 스티커, 패키지 등 각각의 업체를 직접 컨텍하여 제조사로 입고시켜요. 턴키 시 발생하는 수수료를 줄일 수 있고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지만, 그만큼 인력이 필요해요.


처방(Formula Development)

→ 화장품 내용물(포뮬러*)을 조합하고 테스트하는 과정


포뮬러(Formula)

→ 화장품 내용물의 제형 자체를 의미하며, 크림, 세럼, 에센스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음


MOQ (Minimum Order Quantity)

→ 최소 주문 수량을 의미하며, 제조사별로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주문해야 생산 가능함

💡용기사의 평균 MOQ는 5,000개

💡제조사의 평균 MOQ는 용기의 MOQ에 따라감.



PB VS OEMVS ODM

PB(Private Brand) : 브랜드사가 자체적으로 기획·개발해 생산하는 제품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 브랜드 기획을 바탕으로 제조사에서 제품을 생산

ODM(Original Development & Design Manufacturing) : 제조사가 제품을 기획·개발까지 진행하고 브랜드에서 판매


임상 테스트(Clinical Test)

→ 화장품의 기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피부과 테스트, 소비자 패널 테스트 등을 진행하는 과정

💡피부저자극테스트

💡미백, 주름, 탄력, 광채 등 다양한 임상 시험이 존재하고, 화장품의 성능을 객관적 지표로 소비자에게 소구할 수 있는 실험


타겟 (제품타겟, 색상타겟)

👩🏻‍💻 ‘이렇게 만들어주세요’라는 의미에서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 용어에요.


🧐 ’브래닛 립글로스같은 제품 만들고싶다’

🙋🏻‍♀️”우리의 제품타겟은 브래닛 립글로스에요!”


🧐’브래닛 립글로스 3호 색상같은 제품 만들고싶다’

🙋🏻‍♀️”우리의 색상타겟은 브래닛 립글로스 3호에요!”




📌 생산 & 품질 관리 관련 화장품 용어


📌 생산 & 품질 관리 관련 화장품 용어

source : lummi.ai


양산(Mass Production)

→ 시제품(샘플) 개발이 끝난 후, 본격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단계!


감리(Inspection)

→ 공장에서 제품이 제대로 생산되고 있는지 직접 관리·감독하는 업무

💡용기 생산 감리 : 용기가 제대로 생산되는지, 그 형태와 재질, 크기 등을 관리 감독

💡용기 인쇄 감리 : 디자이너가 보낸 원화 파일이 용기에 제대로 인쇄 되는지 등을 관리 감독

💡패키지 감리 : 디자이너가 보낸 원화 파일이 색상, 재질 등을 관리 감독하고 텍스트 오탈자가 없는지 등을 감독


충진(Filling)

→ 내용물을 용기에 채우는 과정


QC (Quality Control) VS QA (Quality Assurance)

QC (품질관리): 생산 후 완제품의 품질 검사

QA (품질보증): 제품 생산 전체 과정의 품질을 관리


임가공비(Processing Fee)

→ 제조 공정에서 특정 가공을 맡긴 대가로 지불하는 비용

보편적으로 사람이 투입되어 작업하는 개당 비용을 산정합니다.


👉🏻 임가공비 예시

1. 화장품 용기 인쇄 비용

로고를 용기에 직접 인쇄하려고 할 때, 인쇄 가공을 위한 임가공비가 추가돼요.


2. 특수 코팅 비용

유광, 무광, 홀로그램 코팅 등 특수한 마감 처리를 하고 싶다면? 코팅 작업에 대한 임가공비가 발생!


3. 라벨 부착 & 패키징 작업 비용

라벨을 부착하거나 패키지를 조립하는 작업을 제조사에 맡긴다면, 이 또한 임가공비에 포함될 수 있어요.


4. 수작업 공정이 필요한 경우

고급 한정판 패키지를 수작업으로 조립해야 한다면, 자동화 공정보다 추가 비용(임가공비)이 들 수 있어요.


🚀임가공비 비용 분석 보러가기👀




📌 패키지 & 디자인 관련 화장품 용어


📌 패키지 & 디자인 관련 화장품 용어

source : lummi.ai


금형(Mold)

→ 화장품 용기를 만들기 위한 틀

👩🏻‍💻 보통 브랜드에서 금형을 만든다고 하는 건, 다른 브랜드와는 차별화된 화장품 용기를 위해 틀을 새롭게 제작하는 거에요. 그만큼 제작비용이 증가하죠 💵


프리몰드(Pre-Mold)

→ 기존에 있는 금형을 활용하는 방식

👩🏻‍💻 '프리몰드 찾아주세요!' 이는 우리가 원하는 용기와 비슷한 사진을 주고 이를 생상할 수 있는 제조사를 찾는거에요. 이를 '용기수배'라고 해요. 하지만 브래닛에선 용기수배없이 직접 찾을수 있죠🤫


사출(Injection Molding)

→ 플라스틱 용기를 만드는 공정


조립 체결(Assembly & Sealing)

→ 용기와 뚜껑을 결합하는 과정


라벨링(Labeling)

→ 화장품 용기에 브랜드명, 성분 정보, 사용법 등을 표시하는 과정


이중용기(Double Wall Container)

→ 외부와 내부 용기로 구성된 용기 형태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고 내용물 보호 기능이 있음




📌 성분 관련 화장품 용어


📌 성분 관련 화장품 용어

source : lummi.ai


액티브 원료(Active Ingredient)

→ 피부에 직접적인 효능을 주는 핵심 성분!


컨셉 원료(Concept Ingredient)

→ 브랜드 스토리텔링에 활용되는 마케팅 포인트 원료

ex) 👩🏻‍💻 브랜드 A는 ‘청정 제주 녹차수’를 컨셉 원료로 사용해 자연 친화적 이미지를 강조했어요.


EWG 등급(EWG Rating)

→ 화장품 성분의 안전 등급을 나타내는 지표 (1~10등급)


비건(Vegan) &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비건: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제품

크루얼티 프리: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


프리 프롬(Free-From)

→ 파라벤, 실리콘, 설페이트 등 특정 성분이 포함되지 않았음을 강조하는 마케팅 용어


🚀19단계 화장품 개발 프로세스 보러가기👀



이제 막 업계에 들어왔다면, 화장품 용어 하나하나가 생소할 수 밖에 없어요. 이 정리본만 잘 숙지하면 개발팀, 제조 공장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한층 더 수월해질거에요 👏🏻


헷갈리는 화장품 용어가 있다면? 바로 브래닛에서 확인하세요 💡✨


화장품 제조를 위한 길잡이 브래닛과 함께🚀

이거 안 보면 손해예요 🤓

로그인하면 열리는 진짜 인사이트! 중요한 건 지금부터라구요 🔥

undefined_profile

김루키

화장품 시장의 흐름을 읽고 트렌드를 기획하는 신입 BM이에요✨

이 글도 좋아하실 것 같아요!

teampass logo

화장품 제조의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뷰티 플랫폼
화장품 제조사 찾기부터 제조 과정까지, 브래닛에서 손쉽게 해결하세요!

Instagram
KakaoTalk Channel

hello@teampass.kr

대표: 이슬애사업자 등록번호: 657-81-02841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3-서울강동-1651주소: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321, 메가스터디 빌딩 1층
Copyright 2025. BRANI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