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뷰티칼럼
2025.04.11

🌿 2025 클린뷰티 화장품 만들고 싶다면, 이 콘텐츠를 보세요.

🔍 코스모스 인증 A to Z, 클린뷰티 민간인증 4가지 총정리

올리브영 클린뷰티

sorce : oliveyoung.co.kr



요즘 올리브영에서 ‘클린뷰티 엠블럼’ 보신 적 있으세요?


제품 썸네일 옆에 작게 붙어있는 그 초록색 마크요 👀

사실 그건 단순한 장식이 아니에요.

올리브영이 직접 선정한 ‘클린뷰티 인증’ 제품에만 붙는 마크랍니다.


예전에는 ‘이 성분 좋다더라’ 만으로도 구매가 이뤄졌지만, 요즘 소비자들은 더 이상 성분만 보지 않아요.


" 지속가능성을 고려했는지 "

"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

" 제조 과정이나 브랜드 철학까지 "


브랜드의 ‘태도’ 자체를 눈여겨 보는 흐름이 커지고 있죠.

‘클린뷰티’는 더 이상 트렌드가 아니라, 브랜드 신뢰를 증명하는 기준이 되고 있어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 지금 클린뷰티가 주목받는 배경

✅ 브랜드 신뢰를 높여주는 대표 인증 소개

✅ 인증을 획득한 국내 제조사 리스트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브랜드를 준비 중이시라면, 이번 콘텐츠에서

클린뷰티의 A to Z 꼭 챙겨가세요! 🙌





🚨 글로벌 베스트셀러, 전량 리콜 사태

로레알 전량 리콜

sorce : loreal.com



2025년 3월, 글로벌 뷰티 브랜드 로레알(L’Oréal)이 자사 베스트셀러인 ‘라로슈포제 에빠끌라 듀오(LA ROCHE-POSAY EFFACLAR DUO)’를 전량 리콜하면서 소비자들이 충격에 빠졌어요 ⚠️

문제는 제품에 포함된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

이 성분은 여드름 치료제로 흔히 사용되지만,

🔥 고온에 노출되면 발암물질 ‘벤젠’으로 변질될 수 있음이 밝혀졌어요.


이 사건 이후, 미국에서는 화장품 성분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에요 😟





💬 성분 논란,

어제 오늘 일이 아니죠


국내외를 막론하고, 화장품 성분을 둘러싼 이슈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어요.

특히 아래와 같은 성분들은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자주 도마에 올랐습니다.



1. 파라벤 (Paraben)

보존제로 널리 쓰이지만,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이 있어 호르몬 교란이나 유방암 연관성이 제기되었어요.

유럽연합(EU)은 일부 파라벤 성분 사용을 제한하거나 금지하고 있어요.


2.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방부 효과가 뛰어나지만, 흡입 시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되고 있어요. (WHO 1군 발암물질).

특히 네일 제품, 헤어 트리트먼트 등에 사용되면서 문제가 됐어요.


3. 탈크 (Talc)

파우더류 제품에 사용되는 흡수제예요.

석면(asbestos) 오염 가능성이 있으며, 난소암 및 폐암과의 연관성이 논란됐어요.

실제로 미국에서 베이비 파우더 제품(존슨앤존슨) 소송이 발생하기도 했어요.


4. 트리클로산 (Triclosan)

항균 기능이 있는 성분이에요.

내분비계 교란 가능성 및 항생제 내성 유발 우려가 제기되며, EU와 미국 일부 주에서 사용이 금지됐어요.


예전에는 브랜드 이미지나 광고 메시지가 구매를 이끌었다면,

이제 소비자들은 제품에 어떤 성분이 들어갔는지, 그 성분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까지 꼼꼼히 따져보기 시작했어요. 성분표를 직접 확인하고, 피부 타입에 맞는지, 유해 성분은 없는지까지 체크하는 것이 이제는 기본이 된 거죠.

전성분 분석앱, 성분 비교 콘텐츠도 많아지면서,

소비자 스스로도 ‘성분 전문가’가 되어가는 중!🧐


이런 흐름은 앞으로도 더욱 강해질 가능성이 높고,

브랜드에겐 ‘성분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가 곧 전략이 되는 시대가 왔어요✍🏻





‘Clean Beauty’ 정확히 뭔가요?

클린뷰티 뜻



🔍 팬데믹 이후 건강과 웰니스에 대한 관심 급증

🔍 환경오염,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윤리적 소비가 대세

🔍 자기 자신을 위한 투자, 성분도 브랜드 철학도 꼼꼼히 확인


이런 흐름 속에서

단순히 효과만 좋은 화장품 보다는 지속 가능한 가치까지 담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실히 늘고 있어요.

이 중심에 있는 키워드가 ‘클린뷰티’ 입니다. 🌿✨



🌿 클린뷰티란?

유해 성분을 배제하고, 친환경적이며 윤리적인 원료와 공정을 사용한 화장품을 의미해요.


🐰 클린뷰티, 왜 신경 써야 할까요?


관련 키워드는 이미 ‘급상승’ 중!


- ‘친환경 화장품’ 🔺 130%

- ‘유기농 화장품’ 🔺 39.29%

- ‘클린뷰티’ 🔺 83.33%

(*네이버 예상 검색량 변화 기준)


지금 이 순간에도 검색량은 계속 오르고 있어요🔥 = 소비자 관심이 계속 올라간다는 뜻이죠!




📈 클린뷰티 시장, 성장가능성은 얼마?


- 2023년 약 82억 5천만 달러

- 2024년 약 92억 8천만 달러

- 2025년 무려 212억 9천만달러 예상


✅ 연평균 성장률 14.8%

✅ 계속 성장 중, 앞으로 더 커질 시장


지금도 소비자는 계속해서 변하고 있어요.

빠르게 변하는 소비자 니즈에 발맞춰,

먼저 신뢰를 얻은 브랜드가 결국 시장의 선택을 받겠죠? 😊


sorce : grandviewresearch.com





인증제도,

달라지는거 아세요?

클린뷰티 인증제도

sorce : lummi.ai



📢 2025년 8월부터 천연 / 유기농 화장품 정부 인증이 폐지됩니다!


지금까지는 식약처가 ‘천연 화장품’ ‘유기농 화장품’을 공식 인증했죠.

하지만 2025년 8월, 이 제도가 완전히 폐지됩니다.


그동안 해외 수출을 위해 정부 인증과 민간 국제인증을 이중으로 받아야 했던 브랜드 입장에서는 인증 절차가 조금 더 유연해질 수 있는 변화입니다.

다만, 정부 인증이 사라진 만큼 민간 인증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 같죠? 🧐


✂️ 브래닛이 정리한 핵심 개정 내용


1. ‘천연/유기농화장품’의 법적 정의가 삭제됩니다.

- 기존 : 법령에 명확한 정의 + 식약처 인증 필요

- 개정 후 : 법적 기준 삭제 → 민간 기준으로 전환


❗ 하지만 여전히 주의해야 할 점

- ‘천연’, ‘유기농’ 이라는 표현 자체는 여전히 표시·광고법(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및 소비자 보호법 등 타 법률의 적용을 받아요.

- 과장광고, 오인 가능성이 있을 경우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어요.

- 합성 성분이 많음에도 “천연”으로 광고한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2. 식약처 인증 절차가 폐지됩니다.

  • 기존엔 인증기관에 대한 정부 조사권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공적 관리에서 민간 중심 체계로 전환돼요.


3. 인증 유효기간도 민간 기관 자율로 바뀝니다.

  • 개정 후 : 민간 기관별로 유효기간 자율적으로 설정 가능

이번 법 개정으로,

브랜드는 자사 정체성에 부합하는 민간 인증을 통해, 보다 유연한 전략을 설계할 수 있게 됐어요.

앞으로는 ‘누가 인증했는가’, ‘어떤 기준을 적용했는가’가 더 중요해질 예정! 🔥





민간인증

어떤게 있나요?

클린뷰티 화장품 질감


‘클린 뷰티’를 말하고 싶다면, 인증은 필수!


절차부터 비용까지 브랜드 상황에 맞춰 고를 수 있는

대표 인증 4가지, 지금부터 정리해 드릴게요 👏🏻




1. 코스모스(COSMOS) 인증


💡코스모스 인증이란?

“COSMetic Organic and Natural Standard”의 약자로, 천연/ 유기농 화장품에 대한 국제 통합 인증 제도예요. 유럽 주요 유기농 인증기관들이 공동 제정한 기준으로,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고 신뢰도 높은 인증 중 하나입니다.


📌 코스모스 인증의 종류

- COSMOS NATURAL : 천연 화장품 인증

→ 천연 유래 원료 기준 충족 시 부여 (유기농 원료 비율 제한 없음)


- COSMOS ORGANIC : 유기농 화장품 인증

→ 전체 성분의 20% 이상, 식물성 성분의 95% 이상이 유기농일 경우 부여


ktr ecocert 인증

Sorce : ktr.or.kr, ecocert.com



🧐 국내에서 코스모스 인증 받는 방법

인증 기관은 크게 두 곳이 있어요.


1. KTR(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국내 최초로 코스모스 공식 인증을 받은 기관

- 모든 절차를 한국어로 진행 가능

- 상대적으로 인증 소요 시간과 비용이 짧고 저렴


2. ECOCERT(에코서트)

- 글로벌 인지도가 높은 프랑스 인증기관

- 해외 바이어나 유통사와의 거래 시 국제 신뢰도 확보에 유리



✍🏻 코스모스 인증 절차

코스모스 인증은 두 기관 모두 아래와 같은 7단계로 진행돼요.


1. 상담 및 사전 검토

2. 신청서 제출 및 접수(제품 정보, 제조 공정, 원료 등 서류 제출)

3. 문서심사

4. 공장심사

*제조 시설도 코스모스 인증을 받은 곳이어야 함

*코스모스 인증 제조사 찾는팁은 마지막에 공개할게요 🤫


5. 심의위원회 검토

6. 인증수여

7. 사후관리(연 1회 공장심사)


⏱ 평균 소요 기간은 약 2~4개월로 제품 수와 문서 수정 여부에 따라 변동 가능




💸 인증 진행 비용


- KTR : 명시된 수수료 기준이 있어,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편이에요.

코스모스 인증 Ktr

sorce : ktr.or.kr,


- ECOCERT : 제품 수, 원료 구성 등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개별 견적 요청이 필수에요.

※ 견적 요청 시 전년도 매출액 제출 필요



🔍 브래닛 한줄 정리

✅ 진입장벽이 낮고 빠르게 접근하려면 COSMOS NATURAL

✅ 국내 유통 예정이면 KTR, 해외 유통 예정이면 ECOCERT

✅ 코스모스 인증은 제품뿐 아니라 제조사도 COSMOS 인증필수





2. EWG VERIFIED

ewg 인증

Sorce : ewg.org


💡 EWG 란?

EWG는 이제 소비자들도 모두 알만큼 대중화가 되었죠?

하지만, 브래닛과 함께 EWG의 활용범위까지 알아볼게요!


EWG는 Environmental Working Group(환경작업단체)의 약자로, 미국에 본사를 둔 비영리 환경 단체예요. 주로 화장품·생활용품의 성분 안전성 평가와 소비자에게 유해 성분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 중입니다.


EWG는 성분을 0~10점 사이로 나누어 안전 등급을 부여하는데,

그 중 1-2등급(Low hazard)이 ‘EWG 그린 등급’으로 분류돼요.



🧐 EWG VERIFIED란?

단순히 “EWG 그린 등급” 성분을 사용했다는 것을 넘어, 제품 전체가 EWG의 엄격한 기준을 충족했음을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성분 뿐 아니라 브랜드의 전반적인 제조 정책, 투명성, 윤리 기준까지 포함해 평가해요.


👉🏻 인증을 위한 주요 심사 항목

- 유해 성분 불검출 : 발암성, 내분비계 교란, 알레르기 유발 성분 등 엄격히 배제

- 성분 투명성 : 모든 성분 완전 공개 (향료도 예외 없이 표시 필수)

- 안전 기준 충족 : EWG 자체 DB 기준 + 최신 과학 데이터 기반 평가

- 제조 공정 및 브랜드 정책 심사 : 윤리 기준, 제조사의 안전 관리 정책도 심사 대상



📋 EWG VERIFIED 인증 절차 및 비용


📌 인증 절차

  1. 브랜드 등록
  2. EWG 공식 사이트에서 브랜드 계정 생성
  3. 제품 성분표, 라벨, 포장 사진 등 필수 서류 제출
  4. 제품 등록 신청
  5. 서류 심사
  6. 성분 기준 충족 여부 1차 검토
  7. 특정 성분은 독성학적 추가 검토로 기간이 연장될 수 있음
  8. 승인 및 계약
  9. 모든 기준 충족시, 라이선스 계약 체결 후 인증 마크 사용 가능



⏱️ 인증 소요 기간

약 4개월 소요되며,

제한 성분에 따른 추가 검토 시 더 길어질 수 있어요. 사전 성분 체크는 필수! 💡



📖 사전 체크리스트

  • 모든 성분이 EWG 1~2 등급인지 확인
  • 향료 성분 전체 기재 여부 확인
  • 금지 성분 포함 여부 확인 (예: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
  • 보존제는 허용된 리스트 내에서 선택
  • 모든 성분명은 INCI명 기준으로 작성



💸 인증 비용

- 초기 신청비(약 500달러) + 라이선스 비용 발생

- 금액은 제품 수와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달라지며, 개별 견적 방식


🐰 EWG 인증은 제품당 약 500달러의 비용이 들며 이후 매출 규모에 따라 라이선스 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고해요. 비용 부담 없이 마케팅에 활용하고 싶다면, EWG 인증 대신 ‘그린 등급’만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 브래닛 한줄 정리

✅ 상세페이지의 마케팅 요소로 활용을 원한다면 → EWG 그린등급

✅ 공식 인증 마크 활용과 브랜딩이 목적이라면 → EWG VERIFIED 인증 추천





3. PETA Cruelty-Free / Vegan 인증

peta 인증

Sorce : crueltyfree.peta.org


💡PETA 란?

PETA는 People for the Ethical Treatment of Animals의 약자로, 세계 최대 규모의 동물 권리 단체예요.

이들이 부여하는 Cruelty-Free 인증은, 해당 브랜드 또는 제품이 동물 실험을 하지 않았다는 것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제도입니다.

또한, PETA Vegan 인증은 Cruelty-Free 조건에 더해, 모든 성분에 동물 유래 성분이 포함되지 않았음을 인증하는 제도예요.


📌 PETA 인증은 미국 본사에서 직접 관리하며, 국내 지사나 대행사는 없지만, 한국 브랜드도 온라인 신청이 가능해요.

*단, 미국, 캐나다, 독일, 인도 중 하나의 국가에서 오프라인 판매 이력이 있어야 신청할 수 있어요.



Cruelty-Free 인증

📋 인증 절차

1. 신청서 작성 & CEO 서명 포함 보증서 제출

→ 본사 및 공급업체 모두 동물 실험을 하지 않았음을 명시

2. PETA 내부 심사 및 승인


💸 비용

  • 인증 자체는 무료
  • 단, PETA 로고(토끼마크) 사용 시 라이선스 비용 $350(일회성)가 발생



PETA-Approved Vegan 인증

📋 인증 절차

1. 신청서 + 100% 비건 성분 증명 서류 제출

2. 공급업체 비건 보증서 확보

3. PETA 심사 및 승인

4. 라이선스 계약 체결 + 연간 비용 납부


💸 연간 인증 비용 (연 매출 기준)

peta 연간 인증비용

* 인증은 매년 갱신 필요



🔍 브래닛 한 줄 정리

✅ Cruelty-Free 인증은 무료로 받을 수 있고, 라이센스 비용도 비교적 저렴한 편!

✅ PETA 인증은 미국, 캐나다 등 오프라인 판매 이력이 있어야 신청 가능 → 해외 진출 브랜드에 적합





4. 비건 인증(The Vegan Society/ 한국비건인증원)

비건 인증

Sorce : vegan-korea, vegansociety.com



국내에서 받을 수 있는 대표 비건 인증은 The Vegan Society(UK 기반)와 한국비건인증원(국내 비건 전문 기관)이 있어요.

두 기관 모두 화장품, 식품, 생활 용품 등에 대해 동물성 원료 사용 여부 및 동물 실험 여부를 기준으로 비건 인증을 부여합니다.


The Vegan Society란?

영국에 본사를 둔 비건 인증의 원조 격 기관으로, 엄격한 기준을 바탕으로 ‘Vegan Trademark’를 발급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통용되고, 글로벌 신뢰도가 높은 비건 인증이에요.


- 인증 방식 : 문서 기반 심사, 현장 실사 없음

- 인증 대상 : 제품 뿐 아니라 브랜드 전체도 가능

- 인증 마크 :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노란색 해바라기 마크

- 추천 대상 : 해외 유통 목적의 브랜드



한국비건인증원이란?

국내에서 활동하는 공신력 있는 비건 전문 인증 기관으로, 국내 유통에 필요한 정부 등록 비건 인증 마크를 발급합니다.


- 인증 방식 : 서류 심사 + 현장 실사(공장 방문)

- 인증 유효 기간 : 기본 1년, 연간 갱신 필요

- 추천 대상 : 국내 유통 중심 브랜드

- 인증 절차 :

  1. 사전 상담 : 제품, 사용 원재료, 제조설비 등 기본 정보 확인
  2. 서류 심사 : 제출 자료를 바탕으로 비건 적합 여부 검토
  3. 현장 실사 : 공장에 직접 방문해 위생 및 교차오염 방지 체계 점검
  4. 인증 심의 : 위원회에서 인증 여부 최종 판단
  5. 인증서 발급 : 통과 시 유효 기간(기본 1년)의 인증서가 발급,‘비건 인증 마크’ 사용 가능
  6. 사후 관리 : 연 1회 이상 정기 실사 및 변경 사항 보고 의무


💸 비용은 제품 수, 공장 수, 심사 횟수 등에 따라 상이하며, 수십~수백만원까지 다양합니다.

최초 인증 외에도 연간 갱신 비용이 발생하니 참고하세요!



🔍 브래닛 한 줄 정리

✅ 국내 유통이 목적이라면 → 한국비건인증원

✅ 해외 수출 브랜드라면 → The Vegan Society.

* 동물성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동물 실험도 하지 않는다면

PETA-Approved Vegan 인증으로 ‘비건’과 ‘크루얼티프리’를 한 번에 증명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에요!



💡 🐰 브랜드 입장에서는 ‘인증 경험이 있는 제조사’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대부분의 인증은 절차가 까다롭고, 해외 기관과의 소통이 필요해 기준미달, 문서 누락 등의 리스크가 생길 수 있거든요.

특히, COSMOS 인증의 경우, 제조사도 해당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사전 확인은 필수!



제조사 선택이 곧 인증 성공률을 좌우합니다.

처음 인증을 준비하는 브랜드라면, ‘인증 경험’이 있는 제조사와의 협업이 가장 안전한 선택이에요 📌





근데 인증 제조사,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클린뷰티 인증 제조사

Sorce : unsplash.com



코스모스 제조사


COSMOS 인증의 경우, 공식홈페이지에서 국내 인증 제조사와 제품 리스트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요 👀

- 국가 : SOUTH KOREA

- Version : COSMOS NATURAL / COSMOS ORGANIC 체크





브래닛이 선별한

인기 ‘클린뷰티’ 제품들의 제조사 정보 🧐


클린뷰티 화장품


💡 에스네이처 아쿠아 스쿠알란 수분크림

- 인증 이력 : EWG 그린등급

- 제조사 : 바이오코스텍


🔗 바이오코스텍 제조사 정보 보러가기



클린뷰티 화장품


💡 에스네이처 아쿠아 오아시스 수분 젤크림

- 인증 이력 : EWG 그린등급, 한국 비건 인증원

- 제조사 : 씨엔에프


🔗 씨엔에프 제조사 정보 보러가기



클린뷰티 화장품


💡 스킨1004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앰플

- 인증 이력 : PETA 비건, The Vegan Society

- 제조사 : 에스알바이오텍


🔗 에스알바이오텍 제조사 정보 보러가기



클린뷰티 화장품


💡 비건 그린티 워터크림

- 인증 이력 : The Vegan Society

- 제조사 : 더원 코스메틱


🐰 더원 코스메틱은 천연 및 유기농 원료를 전문으로 하는 다품종 소량생산 ODM/ OEM 제조사예요.

해양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에코 선패스 인증 자외선 차단제 기술 보유하고 있어, ‘클린 뷰티’ 제품을 기획 중이라면 주목할 만한 제조사 입니다.


🔗 더원 코스메틱 제조사 정보 보러가기





성분만큼 중요한 것,

패키지까지 ‘클린’하게!🌿

친환경 패키지

Sorce : lummi.ai


제품 성분은 물론, 패키지까지 친환경적으로 설계하면 ‘클린뷰티’에 더 가까워 지겠죠?

이때 눈여겨볼 만한 인증이 바로 FSC 인증입니다.

브래닛이 패키지까지 챙길 수 있는 꿀팁, 지금 알려드릴게요🐰 👀


🌲 FSC(Forest Stewardship Council)란?

산림 자원이 환경적으로 적절하고, 사회적으로 유익하며,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국제 산림 인증 제도예요.


📦 뷰티업계에서는?

FSC 인증을 받은 종이는 패키징 박스, 택(tag), 제품 설명서, 리플렛 등 브랜드 인쇄물 전반에 활용돼요.

브랜드 입장에서는 친환경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메시지를 강화하고 소비자에게 전달 할 수 있어요.



친환경 패키지 fsc 인증


공식 FSC 홈페이지를 통해 국내 인증 패키지 업체를 확인할 수 있어요.

- 국가 : Republic of Korea 선택

- 검색 항목: 인증 유형 (FSC, COC 등) , 업체명



이제 준비되셨나요?

‘클린뷰티’를 말하려면 성분부터 패키지까지, 브랜드의 모든 접점이 일관되게 설계돼야 해요.


브래닛은 빠르게 변화하는 화장품 정책과 트렌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지금 실무자에게 가장 필요한 인사이트를 큐레이션 합니다.


앞으로도 브랜드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브래닛이 함께할게요.



🌿 클린뷰티 시장, 지금이 움직일 타이밍이에요.

화장품 제조 트렌드, 브래닛과 함께. 🚀



이거 안 보면 손해예요 🤓

로그인하면 열리는 진짜 인사이트! 중요한 건 지금부터라구요 🔥

undefined_profile

brabit

정확하고 빠른 뷰티 뉴스 🚀

이 글도 좋아하실 것 같아요!

teampass logo

화장품 제조의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뷰티 플랫폼
화장품 제조사 찾기부터 제조 과정까지, 브래닛에서 손쉽게 해결하세요!

Instagram
KakaoTalk Channel

hello@teampass.kr

대표: 이슬애사업자 등록번호: 657-81-02841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3-서울강동-1651주소: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321, 메가스터디 빌딩 1층
Copyright 2025. BRANIT. All Rights Reserved.